반응형 성경5 [기초교리 12주] 02. 하나님의 말씀 (Sola Scriptura) 기초 교리 공부: 성경 – 하나님의 말씀 (Sola Scriptura)기초교 12주 두 번째 시간은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하나님이 말씀인 성경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서론: 성경은 왜 우리의 삶과 신앙의 기준이 되는가?기독교 신앙에서 성경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가장 귀중한 선물입니다. 성경은 우리의 신앙과 삶의 유일한 기준이며, 하나님의 뜻과 진리를 우리에게 전달하는 권위 있는 말씀입니다. 오늘 우리는 Sola Scriptura, 즉 "오직 성경"이라는 진리를 살펴보려 합니다. "오직 성경"은 종교개혁 당시 교회가 인간의 전통과 교황의 권위를 성경과 동등하게 두었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개혁자들이 강조했던 핵심 원리 중 하나입니다.디모데후서 3:16-17은 성경의 권위를 이렇게 말씀합니다:.. 2025. 1. 16. 성경이란 무엇인가? 성경이란 무엇인가? - 조직신학적 관점에서의 정의성경은 하나님의 특별한 계시로, 그분의 뜻과 구원의 계획을 인간에게 전달하는 책입니다.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성경은 신적 영감에 의해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간의 구원과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위한 유일무이한 진리의 근거입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뜻을 온전히 드러내며, 신앙과 삶의 모든 측면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지는 말씀입니다. 성경의 구조와 목적, 그리고 그 신적 기원에 대한 신학적 이해는 다음과 같습니다.1. 성경의 영감성 (Inspiration)조직신학에서 성경은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정의합니다. 이는 인간 저자들이 성령의 인도 아래에서 글을 썼으며, 그들의 언어와 개성을 사용했지만, 그 과정에서 오류 없이 하나님의 뜻을 온전히.. 2024. 10. 22. 계시란 무엇인가? 계시란 무엇인가?계시라는 용어는 헬라어 '아포칼립시스(apokalypsis)'에서 유래하며, 이는 '덮개를 벗기다', '드러내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용어는 하나님께서 감추어져 있던 자신의 속성과 뜻을 인간에게 드러내는 행위를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히브리어 '갈라(galah)'라는 단어는 '열다', '드러내다'를 의미하며, 구약에서 하나님께서 자신의 비밀을 선지자들에게 알리실 때 사용되었습니다. 이처럼 계시는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스스로를 드러내어, 자신의 성품과 계획을 인간에게 알리시는 과정이자, 그분의 뜻을 나타내는 행위입니다. 조직신학에서 계시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단절을 극복하고, 하나님의 뜻과 성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수단으로 이해됩니다. 이 계시는 하나님께서 인간.. 2024. 10. 22. 성경 매일 읽어야 하나요? 성도의 성경 읽기 성도를 성경을 읽어야 합니다. 목사든 장로든 초신자든 성경을 읽어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성도들이 바쁘다는 핑계로 성경을 잘 읽지 않습니다. 성경 읽기는 무엇이고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성경을 읽은 이유부터 알아봅시다.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하신 말씀을 기록한 것입니다. 성경 읽기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입니다. 성경을 읽지 않으면 하나님의 음성을 들을 수 없으니 당연히 무지한 자가 될 것입니다. 성도는 하나님의 뜻대로 살아야 하는데 성경 읽지 않고 하나님의 뜻을 모른다면 성도의 바른 자세는 아닐 것입니다. 성경은 우리를 거듭나게 합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이런 말을 합니다. 딤후 3:15 또 어려서부터 성경을 알았나니 성경은 능히 너로 하여금 그리스도 .. 2024. 5. 18. [조직신학 서론] 계시론 조직신학 서론 계시론 기독교는계시의 종교이다. 계시의 뜻은 숨겨진 것이 드러난다이다. 계시는 하나님의 능동적인 행동으로서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드러내시는 행위다. 계시는 인간의 이해를 전제한다. 계시를 통해 인간은 하나님을 발견한다. 계시론은 불가지론(不可知論)을 부정하며 반박한다. 우리는 이러한 관점에서 계시로서의 성경을 접근해야 한다. 오늘은 계시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알아보자. 1. 계시의 구분 계시는 자연 계시와 초자연 계시로 구분합니다. 자연 계시를 일반 계시하며, 초자연 계시를 특별 계시라합니다. 자연(일반)계시 - 초자연(특별)계시 둘 사이는 완벽하게 일치하지만 맥락상 같은 의미로 봅니다. 하지만 상반된 입장이기도 합니다. 서로 보완하면서 상반되는 것이 두 계시의 특징입니다. 1) 자연(일반).. 2021. 11.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