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교리5

학습문답지 학습자를 위한 학습문답지입니다. 해설은 각장별로 정리했습니다. 각장 제목 아래에 링크를 두었으니 참조하시면 됩니다. 학습문답은 가장 기초적인 성경 지식을 쌓고 기독교를 이해하기 위한 단계이기 때문에 너무 자세히 살명할 필요는 없고 간략하게 설명하시면 됩니다. 학습문답을 위한 공부는 전체를 잘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이중요합니다. 제1편 : 학습 문답 1장-학습 문답자의 자격과 사람의 목적 1. 학습은 누가 받을 수 있습니까? (1)교회에 출석한 지 6개월 이상이 되고 (2)예수를 믿는 자로서 (3)만 14세 이상 되어야 합니다. [학습문답공부] 제1장 학습문답의 자격과 사람의 목적 2.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1)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과 (2)영원토록 그를 즐거워하는 것입니다. 2.. 2022. 1. 11.
주기도문 강해 개론편 주기도문 강해 1. 개요 및 서론 주기도문은 하나님께서 가르쳐 주신 기도를 말합니다. 누가복음과 마태복음의 기록되어 있습니다. 마태복음 원문을 중심으로 하나님 나라의 관점으로 주기도문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간략하게 개론적인 부분과 전체적인 의미들을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본문은 구번역 주기도문으로 사용합니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몸은 순서를 보면 아버지 우리의 하늘에 계신으로 되어 있습니다. 아 다른 분들은 순서를 뭐 굳이 살펴 볼 필요는 없겠지만 가장 소중해 나와 있는 본문은 순서를 기억하고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 그러니까 주기도문에 가장 먼저 나오는 단어는 헬로 파르테 아버지라는 단어입니다 그 아버지가 어디 계시는 야 하늘에 있다 가는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늘.. 2021. 11. 14.
조직신학의 순서 조직신학 순서 조직신학은 성경의 내용을 주제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교의학과 구분하기는 하지만 크게 다르지 않으며, 관점에 차이일 뿐입니다. 교의학에 좀 더 성경 신학에 가깝다면 조직신학은 좀 더 체계적으로 주제별로 엮은 것입니다. 교의학이나 조직신학은 성경신학을 바탕으로 하며, 성경 신학을 좀 더 체계적으로 엮은 것이 교의학이며, 교의학을 더 선명하게 정리한 것이 조직신학입니다. 여기서는 교의학과 조직신학을 구분하지 않으면 조직신학이란 말로 사용합니다. 조직신학의 순서 모든 조직 신학이 아래의 순서를 따르지는 않습니다. 보수개신교의 조직신학 순서에 따른 것이며, 일반적인 순서입니다. 조직신학의 개론 -조식신학의 역사와 개요 -성경(계시론) 조직신학 본론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교회.. 2021. 11. 14.
신앙의 기초를 위한 공부 (주기도문 사도신경 십계명) 신앙의 기초를 위한 기본 공부 기독교인에 되었다면 그 무엇보다 가장 먼저 공부해야할 내용들이 있습니다. 먼저는 성경의 기본 내용을 배워야 할 겁니다. 그리고 교회 안에서 신앙의 기본이 되는 주기도문, 사도신경, 십계명을 암송하고 배워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바른 신앙의 기초를 쌓을 수 있습니다. 주기도문과 사도신경은 반드시 암송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새번역 주기도문과 새번역 사도신경이 사용되고 있지만 번역에 불만을 품은 수많은 교단은 이전 번역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안타깝게 새롭게 번역된 주기도문과 사도신경이 너무나 기이해 저 또한 그리 달갑지가 않습니다. [주기도문]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에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임한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 2021. 11. 14.
사람은 누구인가? 사람은 누구인가? 성경 안에서 사람은 어떻게 그려질까요? 성경의 핵심이 사람이기 때문에 그 무엇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성경적 인간학을 다루려면 수 천권의 책은 필요할 것입니다. 이곳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것들만 짚어 봅니다. 1. 사람과 인간 용어부터 정리하면 사람은 생물학전 존재로서의 독립된 개체입니다. 예를 들면 '저것은 사람이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저분은 사람입니다'라는 표현을 틀립니다. 그렇다면 사람은 존재의 호칭인 것이지 관계적 용어는 아닌 것입니다. 인간은 한자어에서 명확히 드러나듯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로서의 독립된 존재가 인간입니다. 사람이 생물학적 관점이 강하다면,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의 관점이 강하다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저는 사람과 인간을 명확하게 구분하면서 사용하지 않.. 2021.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