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당한 그리스도, 그러나 멈추지 않는 복음의 능력
마가복음 6장은 예수님이 고향에서 거절당하시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제자들의 파송, 세례 요한의 순교, 오병이어 기적과 바다 위를 걸으시는 사건, 그리고 병자들의 치유로 이어집니다. 본장은 복음이 거절당하기도 하지만 결코 멈출 수 없는 하나님의 능력이라는 점을 반복해서 증거하며, 제자의 길 또한 고난과 기적이 함께하는 여정임을 가르쳐줍니다.
고향에서의 배척과 믿음의 장애 (막 6:1-6)
예수님께서 나사렛, 곧 고향으로 돌아오셨을 때,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하셨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곧 의심하며 말합니다. “이 사람이 마리아의 아들 목수가 아니냐?”(막 6:3). 예수님의 출신 배경이 오히려 복음의 장벽이 되었던 것입니다. 사람들은 그분의 지혜와 능력을 보면서도, ‘너무 가까운 사람’이라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못했습니다. 이는 인간의 죄된 본성에서 비롯된 신앙의 장애입니다.
예수님은 "선지자가 자기 고향과 친척과 집 외에서는 존경을 받지 않음이 없느니라"(막 6:4)고 말씀하시며, 그들의 불신 때문에 많은 능력을 행하지 않으셨습니다. 여기서 '능력을 행하지 못하셨다'는 표현은 예수님의 능력이 제한되었다는 뜻이 아니라, 믿음 없는 마음이 하나님의 역사를 경험하지 못하게 만든다는 영적 원리를 보여줍니다. 복음은 능력입니다. 그러나 그 능력은 믿음을 통해 우리 삶에 임합니다. 우리가 익숙하다는 이유로 하나님의 말씀을 가볍게 여기고, 너무 잘 안다고 생각하여 순종하지 않는다면, 복음의 능력은 우리 삶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자들의 파송과 복음의 확장 (막 6:7-13)
예수님은 열두 제자를 둘씩 짝지어 보내시며, 더러운 귀신을 제어하는 권세를 주십니다(막 6:7). 제자들에게는 여행을 위한 아무 것도 가지지 말라고 하십니다. 지팡이 외에는 양식도, 자루도, 돈도 가지지 말고, 신발은 신되 두 벌 옷도 입지 말라고 하셨습니다(막 6:8-9). 이는 복음을 전하는 자의 삶이 오직 하나님의 공급과 인도하심에 의지하는 여정임을 보여줍니다.
또한 어떤 집에 들어가든 그 집에 머물고, 그곳에서 대접받지 못하면 그 성을 떠나며 발의 먼지를 떨어버리라고 하십니다(막 6:10-11). 복음은 초청이고 기회입니다. 그것을 거절하는 자는 결국 그 책임을 스스로 짊어지게 됩니다. 제자들은 나가서 회개하라 전파하고, 많은 귀신을 쫓아내며 병든 자를 고쳐주었습니다(막 6:12-13). 복음은 단지 말이 아니라 삶을 변화시키는 능력입니다. 그리고 그 복음을 전하는 자는 그 능력의 도구로 쓰임받게 됩니다. 오늘 우리 역시 복음을 맡은 자로서 이 부르심 앞에 서야 합니다. 복음을 전할 때 필요한 것은 복잡한 수단이 아니라, 주님의 권세와 말씀에 대한 순종입니다.
세례 요한의 죽음과 제자의 대가 (막 6:14-29)
해롯왕은 예수님의 소문을 듣고 세례 요한이 다시 살아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그가 세례 요한을 죽였기 때문입니다. 요한은 해롯이 동생의 아내 헤로디아를 취한 것을 책망하였고, 이로 인해 감옥에 갇혀 있었습니다. 해롯은 요한이 의롭고 거룩한 사람임을 알았고, 그의 말을 듣고 괴로워하면서도 종종 기꺼이 듣고 있었습니다(막 6:20).
그러나 헤로디아는 요한을 미워했고, 마침 생일잔치에서 딸이 춤을 추자 해롯이 무엇이든 주겠다고 맹세한 일로 인해, 그녀는 세례 요한의 머리를 구하게 됩니다. 해롯은 맹세 때문에 근심하면서도 명령을 내리고, 요한은 순교당하게 됩니다(막 6:26-28).
이 사건은 복음을 따르는 자가 겪게 되는 고난의 현실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진리를 전하다가 핍박받는 것이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낯선 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내어놓는 자들이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 세상은 진리를 반기지 않을 수도 있으며, 복음을 전하는 자에게 세상의 박해가 따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요한의 죽음은 헛되지 않았습니다. 그의 삶과 죽음은 하나님의 나라를 향한 길을 준비하는 고귀한 제사였으며, 오늘 우리에게 복음을 위한 희생이 얼마나 의미 있는 일인지를 깨닫게 합니다.
오병이어와 바다 위를 거니신 예수님 (막 6:30-52)
제자들이 사역 후 돌아와 예수님께 모든 것을 보고하자, 예수님은 그들에게 "너희는 따로 한적한 곳에 가서 잠시 쉬어라"(막 6:31) 하십니다. 그러나 많은 무리가 예수님을 알아보고 따라오자, 예수님은 그들을 불쌍히 여기셨습니다. 목자 없는 양과 같았기 때문입니다(막 6:34). 예수님은 무리를 가르치신 후,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린 사람들을 위해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오천 명을 먹이시는 기적을 행하십니다(막 6:41-44).
이 사건은 예수님께서 참된 목자이심을 보여주는 동시에, 하나님의 나라는 인간의 제한된 자원을 통해서도 무한히 역사하신다는 진리를 선포합니다. 제자들은 사람을 흩게 하자고 했지만, 예수님은 그들을 먹이기를 원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늘 우리보다 더 넓은 자비와 계획을 가지신 분이십니다. 우리는 때때로 주님의 말씀보다 현실을 먼저 봅니다. 하지만 믿음은 현실을 넘어 하나님의 손에 있는 가능성을 보는 눈입니다.
이어 예수님은 제자들을 먼저 배에 태워 보내시고, 자신은 기도하러 산에 오르십니다. 밤사경에 바람으로 괴로워하는 제자들에게 예수님은 바다 위를 걸어오십니다(막 6:48-49). 이 장면은 단순한 기적을 넘어서, 예수님의 주권과 임재를 상징합니다. 제자들은 두려워하였지만, 예수님은 "안심하라 내니 두려워하지 말라"(막 6:50)고 말씀하십니다. 제자들의 마음은 여전히 완악했고 오병이어의 기적도 온전히 깨닫지 못했습니다(막 6:52). 이는 인간의 한계를 보여주는 동시에, 예수님의 인내와 은혜를 부각시키는 말씀입니다.
병자들을 고치시는 주님의 극휼 (막 6:53-56)
예수님께서 게네사렛 땅에 이르시자, 사람들이 예수님을 알아보고 병든 자들을 데리고 나옵니다. 마을마다 사람들이 달려와 예수님 계신 곳으로 몰려듭니다. 그들은 예수님의 옷자락에라도 손을 대게 해달라고 간구했고, 손을 대는 자는 다 나음을 입었습니다(막 6:56).
이 마지막 장면은 마가복음 5장에서 혈루병 여인이 예수님의 옷자락을 만졌던 사건을 상기시키며, 믿음 있는 자에게 하나님의 은혜가 임한다는 반복되는 주제를 강화합니다. 예수님은 사람들의 병을 고치시며, 그들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으셨습니다. 주님은 단지 영적인 문제만을 다루시는 분이 아니라, 우리의 연약함과 아픔을 친히 짊어지시는 분이십니다.
결론
마가복음 6장은 복음을 따르는 길이 때로는 거절과 고난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그 길 위에서 주님은 여전히 일하시며, 제자들을 부르시고, 먹이시고, 건지시고, 고치십니다. 복음은 사람의 조건이나 반응에 따라 좌우되지 않습니다. 고향에서 거절당하셔도, 오병이어로 사람들을 먹이시고, 물 위를 걸어오셔서 두려움 가운데 있는 제자들을 만나 주시는 분이십니다. 복음은 생명을 주는 능력입니다. 그리고 그 복음을 따르는 자는 단지 말씀을 듣는 자를 넘어서, 그 말씀을 삶으로 살아내는 제자가 되어야 합니다. 오늘도 우리는 예수님과 함께 이 믿음의 여정을 걸어가야 합니다.
'성경주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10장 주요 주제와 해설 묵상 (0) | 2025.04.02 |
---|---|
마가복음 9장 주요 주제와 해설 묵상 (0) | 2025.04.02 |
마가복음 8장 주요 주제와 해설 묵상 (0) | 2025.04.02 |
마가복음 7장 주요 주제와 해설 묵상 (0) | 2025.04.02 |
마가복음 5장 주요 주제와 해설 묵상 (0) | 2025.04.02 |
마가복음 4장 주요 주제와 해설 묵상 (0) | 2025.04.02 |
마가복음 3장 주요 주제와 해설 묵상 (0) | 2025.04.02 |
마가복음 2장 주요 주제와 해설 묵상 (0) | 202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