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와신앙

[설교 잘하는 법] 4장: 설교 구조와 흐름 만들기

by πάροικος 2025. 8. 14.
반응형

4장: 설교 구조와 흐름 만들기

1. 설교 구조의 중요성

설교는 영적 메시지를 담은 ‘말’이지만, 동시에 청중이 이해하고 기억하도록 돕는 구조적 설계가 필요합니다. 구조 없는 설교는 산만하게 흩어져서, 아무리 좋은 진리를 담아도 청중 마음에 깊이 남지 않습니다.
보수 장로교 전통에서 설교는 주제와 본문을 따라 논리적·신학적으로 정돈된 형태로 구성해야 하며, 동시에 성령의 감동을 담을 수 있는 유연함을 가져야 합니다.

2. 기본 설교 구조 – 서론, 본론, 결론

  1. 서론(Introduction)
    • 목적: 청중의 마음을 열고 본문과 주제에 집중하게 함
    • 특징: 길지 않게(5분 이내), 설교 전체의 방향성을 제시
    • 방법: 시대적 이슈, 청중의 필요, 질문, 간단한 예화 사용
    • 주의: 지나친 농담이나 본문과 무관한 이야기 금물
    • 예시: 요한복음 4장(사마리아 여인) 설교 시작 시, 현대인의 ‘영적 목마름’ 사례를 간단히 제시
  2. 본론(Body)
    • 목적: 본문을 해석하고, 핵심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전달
    • 구성: 보통 2~4개의 대지(大旨)로 나누어 전개
    • 특징: 각 대지는 논리적 순서로 이어져야 함(예: 원인 → 과정 → 결과, 또는 진술 → 증거 → 적용)
    • 내용 구성 원칙:
      • 본문 해석(Exposition) – 단어, 문맥, 역사·문화적 배경
      • 신학적 의미(Doctrine) – 교리적 연결
      • 실천적 적용(Application) – 성도의 삶에 연결
    • 주의: 본문에서 벗어난 개인 의견이나 정치적 발언 자제
  3. 결론(Conclusion)
    • 목적: 설교 전체를 요약하고, 청중의 결단을 촉구
    • 방법: 핵심 메시지 재확인, 적용 강조, 소망과 격려의 말
    • 주의: 갑작스러운 마무리 지양, 결론이 본문과 주제에 일관되게 연결되어야 함
    • 예시: 사마리아 여인 설교 결론에서 “우리의 목마름은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만 해소됩니다”라는 주제를 다시 상기

3. 주제문과 대지 설정

  1. 주제문(Theme Statement)
    • 설교 전체를 한 문장으로 요약
    • 조건: 명확성, 간결성, 성경적 정확성
    • 예: “하나님은 환난 속에서도 성도의 믿음을 연단하신다.”
  2. 대지(Outline Points)
    • 각 대지는 주제문을 뒷받침하는 핵심 단계
    • 대지 제목은 기억하기 쉬운 형태로, 대개 평행 구조(문장 길이와 형식이 비슷하게)로 작성
    • 예:
      1. 환난 속에서도 하나님은 함께하신다
      2. 환난은 우리의 믿음을 성장시킨다
      3. 환난 후에는 영광의 소망이 주어진다
  3. 대지 간 흐름
    • 논리적·신학적 순서를 고려해야 함
    • 흐름 예시: ‘문제 → 해결 → 결과’, ‘명령 → 이유 → 적용’

4. 성경적 스토리텔링과 예화 활용

  1. 성경적 스토리텔링
    • 설교자는 본문 속 이야기를 청중이 ‘현장감 있게’ 느끼도록 전달
    • 시간, 장소, 인물의 감정과 상황을 묘사
    • 예: 마가복음 2장 중 ‘지붕을 뜯어 친구를 내리는 장면’을 당시 집 구조와 사람들의 표정을 설명하며 재현
  2. 예화 활용 원칙
    • 예화는 본문 메시지를 강화하는 보조 도구
    • 원칙: 적합성, 진실성, 간결성
    • 주의: 과도한 예화, 신빙성 없는 이야기, 본문과 무관한 감성 자극
    • 예시: 용서를 주제로 한 설교에서, 실제 역사 속 화해 사례 인용
  3. 예화의 종류
    • 성경 내부 예화(다른 본문 사례)
    • 역사·문학·인물 이야기
    • 목회 현장에서의 간증(개인 정보 보호 주의)

5. 논리적 전개와 설득력

  1. 논리적 전개
    • 설교는 흐름이 명확해야 함
    • 각 대지가 다음 대지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연결 문장(transition)’ 사용
    • 예: “하나님이 환난 속에 함께하신다면, 이제 우리는 그 환난의 목적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2. 설득력
    • 단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청중의 마음과 의지를 움직이는 힘
    • 방법: 성경적 권위, 성령의 감동, 논리적 근거, 감정적 호소를 균형 있게 사용

6. 설교 흐름 설계 예시

본문: 시편 23편 1-6절
주제문: “하나님은 우리의 선한 목자이시다.”

  1. 서론: 양과 목자의 관계를 설명하며, 현대인의 ‘안전 욕구’와 연결
  2. 본론:
    • 대지 1: 목자는 양의 필요를 채우신다(1-3절)
    • 대지 2: 목자는 위험 속에서 보호하신다(4절)
    • 대지 3: 목자는 끝까지 함께하신다(5-6절)
  3. 결론: 인생의 모든 여정에서 주님을 목자로 신뢰할 것 촉구

7. 설교 원고 작성과 메모 활용

  1. 완전 원고 방식
    • 장점: 내용 누락 방지, 표현 정확성
    • 단점: 강단에서 읽는 느낌이 될 위험
    • 보완: 원고를 완벽히 숙지해 시선과 표정을 자연스럽게 유지
  2. 메모 방식
    • 장점: 자유로운 전달, 청중과 소통 용이
    • 단점: 내용 누락 위험
    • 보완: 메모에 키워드와 핵심 구절만 기재, 전개 흐름 철저히 숙지

8. 결론 – 구조와 흐름은 설교의 ‘등뼈’

설교는 성령의 감동으로 전해지는 영적 메시지이지만, 청중의 이해와 기억을 위해 구조와 흐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구조 없는 설교는 순간적인 감동은 줄 수 있으나, 말씀의 진리가 오래 남기 어렵습니다.
보수 장로교 설교자는 성경 본문을 철저히 해석한 뒤, 주제와 대지를 따라 설교를 설계하고, 서론-본론-결론의 흐름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명확하고 힘 있게 전달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